무토(戊土) 무(戊) : 산(山), 표범, 중립(中立), 보수적(保守的), 파벌(派閥), 침묵, 비밀. 사주원국(四柱原局)이나 운시(運始)에 무토(戊土)가 있을 때 먼저 공격(攻擊)하지 않는다. 상대(相對)가 건드리면 죽기 살기로 공격(攻擊)한다. 표범은 맹수(猛獸)다. 맹수(猛獸) 표범은 배고풀 때에만 사냥하고 배가 부르면 사냥하지 않는다. 표범은 사람을 만나도 먼저 공격(攻擊)하지 않고 경계(經界)를 한다. 자신(自身)이 위험(危險)을 느낄 때 공격(攻擊)한다. 무토(戊土)가 사주원국(四柱原局)에 있으면 평소에 침묵을 잘지킨다. 남의 비밀도 발설(發說)하지 않는다. 표범은 사납기도 하지만 털빛깔은 아름답다. 무토(戊土) 일주(日柱) 중 미남(美男)미녀(美女)가 많다. 무토(戊土) 대운(大運)이면 싸울..
정화(丁火) 정(丁) : 음화(陰火), 등(燈), 달, 노루, 직관력(直觀力), 가정적(家庭的), 온순(溫順), 군식구(食口). 사슴은 능선(稜線)이나 꼭대기에서 사는데 노루는 계곡(溪谷)이나 7부 능선(稜線)에서 산다. 낮은 곳에 있기를 원(願)한다. 노루는 높은 곳보다 낮은 곳을 좋아한다. 운시(運始)나 대운(大運)이 정화(丁火)이면 높은 아파트보다 낮은 층의 집을 구한다. 노루는 빠르고 점프력이 좋다. 원국(原局)에 정화(丁火)가 있으면 빠르다. 신체적(身體的)으로 안되면 남보다 영감(靈感)이나 예감(豫感), 직감(直感)이 발달(發達) 되었다. 정화(丁火)가 원국(原局)에 있으면 꿈이 잘맞는다. 정화(丁火)는 등(燈), 달이고 난로(煖爐)다. 겨울이나 온실(溫室)에는 난로(煖爐)가 필요(必要)하고 ..
병화(丙火) 병(丙) : 양화(陽火), 사슴, 남성적(男性的), 직업전선(職業戰線), 관대(寬待), 포용력(包容力), 군식구, 반장(班長). 사슴은 햇빛 잘드는 능선(稜線:산등성이) 양지(陽地)에 잘 돌아 다닌다. 사슴은 높은 곳을 좋아 하고 넓은 곳을 좋아한다. 병화(丙火)가 사주(四柱)원국(原局)이나 운시(運始)에 있으면 아파트에 살더라도 고층에 살기를 원한다. 고소(高所)공포증(恐怖症)이 없다. 병화(丙火) 대운(大運)이면 높고 넓은 곳으로 이사(移徙)를 많이 한다. 이사(移徙)를 하지 않으면 리모델링을 한다. 병화(丙火)는 혼자 다치지 하길 원(願)한다. 둘이 있으면 끝까지 싸운다. 사주원국(四柱原局)이나 운시(運始)에 병화(丙火)가 있으면 다혈질(多血質)이고 남성적(男性的) 기질(器質)이 있어 ..
* 을목(乙木) 을(乙) : 화초(花草), 담비, 새, 화술(話術), 여행(旅行), 외교(外交), 노래, 무용(舞踊). 을목(乙木)은 화초(花草)다. 동물(動物)로는 담비고 새다. 새는 기르기가 힘들다. 시끄럽게 울어 옆집에 피해를 준다. 사주(四柱)에 을(乙)자가 있으면 새처럼 노래도 잘하고 말도 잘한다. 좋게 말하면 화술(話術)이 좋고 수다쟁이다. 화술(話術), 수다는 운시(運始)에 있으면 0순위(順位), 일간(日干) 첫 번째, 년월(年月)은 두 번째 시간(時干)은 세 번째다. 을목(乙木)이 있으면 말을 유도(誘導)해 잘 끌어내 사회(司會)를 잘 본다. 사주(四柱)나 운시(運始)에 을목(乙木)이 있어야 잘 한다. 대운(大運)에서 오는 을목(乙木)은 수다스럽지 않다. 을목(乙木) 대운(大運)이면 단거리..
갑목(甲木) 갑(甲) : 여우, 지도자(指導者), 장남(長男), 맏며느리, 교육(敎育), 종교(宗敎), 반장(班長), 보수적(保守的) 자존심(自尊心)이 강(强)하다. 갑목(甲木) 천간(天干)의 첫 번째로 우두머리다. 대장(大將)이다. 대장(大將)은 대장(大將)의 능력(能力)을 보여주기 위해 교육(敎育)받고 공부(工夫)한다. 대장(大將)은 잘나야 하니깐, 갑목(甲木)은 물상(物像)으로 거목(巨木)이고 동물(動物)론 여우다. 우두머리란 지도자(指導者), 반장(班長), 회장(會長) 대장(大將)이고 대표(代表)다. 학생(學生) 때 갑년(甲年)이나 갑대운(甲大運)이면 공부(工夫) 열심히 해 반장(班長), 과대표(科代表), 회장(會長) 한다. 일주(日柱)가 갑목(甲木)이면 우두머리의 성향(性向)이 아주 강(强)하다..
* 사주(四柱) 원리(原理) 년(年) - 근(根:뿌리), 선조(先祖), 조국(祖國), 기관장(機關長), 댁(宅:집), 묘(墓), 과거(過去), 점(點). 월(月) - 묘(苗:싹), 부모형제(父母兄弟), 사회(社會), 과장(課長), 인근(隣近), 선(線), 과거(過去)와 현재(現在)의 중간(中間), 골(骨:뼈) 친구(親舊). 일(日) - 화(花:꽃), 자신(自身), 배우자(配偶者), 가정(家庭), 주방(廚房), 면(面), 현재(現在), 피(皮:피부) 시(時) - 실(實:열매), 자식(子息)과 배우자(配偶者), 부하(部下), 문정(門庭:대문 안뜰), 도로(道路), 입체(立體), 말년(末年), 혈(血).
2) 편재(偏財) 편재(偏財)는 음견음(陰見陰) 양견양(陽見陽)으로 일주(日柱)와 음양(陰陽)이 같다. 정재(正財)은 정처(正妻)라면 편재(偏財)는 편처(偏妻), 애인(愛人), 첩(妾)이다. 정재(正財)는 정당한 재물(財物)이며 편재(偏財)는 투기(投機), 밀수(密輸), 고리대금(高利貸金)등으로 유동재물(流動財物)본다. 정재(正財)는 늦어도 얻을 수 있지만 편재(偏財)는 단시일(短時日)에 일확천금(一攫千金)을 얻어 신흥재벌(新興財閥) 소리 듣고 편재격(偏財格)이 많다. 편재(偏財)는 비견겁(比肩劫)을 만나면 극제(剋制) 당하므로 꺼린다. 여명(女命)에 편재(偏財)는 시모(媤母)로 며느리가 시모(媤母)를 관제(管制)하려 하니 고부간(姑婦間)의 갈등(葛藤)이 생기게 된다. 정재(正財)가 왕(旺)하고 득위(得..
5. 정재(正財) 편재(偏財) 1) 정재(正財) 재(財)는 내가 제(制)하는 것이며 음양(陰陽)이 상대(相對)되는 것은 정재(正財)라고 한다. 목(木)의 재(財)는 토(土)이며 목(木)은 토(土)를 극(剋)한다. 음양(陰陽)이 다른 것이 정재(正財)이며 갑견기(甲見己), 을견무(乙見戊)이다. 관(官)은 내가 관제(管制:통제) 받는 것이면 재(財)는 내가 재(財)를 관제(管制)하는 것이다. 남명(男命)에 정재(正財)는 처(妻)다. 사주(四柱)에 재(財)가 많거나 왕(旺)하고 내가 약(弱)하면 재다신약(財多身弱)으로 부옥(富屋:부자집)에 빈인(貧人:가난한)이며 처(妻)가 무섭다. 재(財)가 생월(生月)에 있으면 부유(富裕)한 가정(家庭)에서 태어나 유산(遺産)도 상속(相續)받게 된다. 재(財)가 충파(沖波)..
2) 편관(偏官) 정관(正官)은 충고(忠告)로서 나를 규제(規制)한다고 보면 편관(偏官)은 증악(憎惡:미움)으로 나를 억제(抑制)하는 것이다. 관직(官職)으로 보면 정관(正官)은 품행(品行)단정(端正)하고 수려(秀麗)한 판사(判事), 행정관(行政官)이라면 편관(偏官)은 권력(權力), 투쟁(鬪爭) 완강(頑强)한 군인(軍人), 검사(檢事) 등의 직업(職業)에 해당(該當)된다. 검사(檢事)는 엄격(嚴格)한 의미에서 행정관(行政官)으로 보지만 본질(本質)은 사회질서(社會秩序)를 위하여 권력(權力)을 사용(使用)하는 위치(位置)이므로 편관(偏官)으로 본다. 여명(女命)에 정관(正官)은 정당(正當)한 결혼(結婚)에 의한 남편(男便)이라면 편관(偏官)은 오다가다 만난 부부(夫婦), 위협(威脅)으로 한 결혼(結婚)의 ..
4. 정관(正官) 편관(偏官) 1) 정관(正官) 관(官)은 관제(管制) 규제(規制)를 말한다. 관(官)은 국민(國民)의 안녕(安寧)질서(秩序)를 위한 규칙(規則)을 정하고 규제(規制)하며 관제(管制)하므로 규율(規律)된 생활(生活)로 수려(秀麗)한 인격(人格)을 가지게 된다. 정관(正官)은 정당(正當)한 규제(規制)로 생활(生活)하는데 유익(有益)한 충고(忠告)이다. 선조(先祖)의 자리가 되는 생년(生年)에 관(官)이 있으면 선조(先祖)의 후계(後繼)를 자신(自身)이 받는 것이다. 장자(長子)로 태어났으면 선조(先祖)의 귀업(貴業)을 잇게 되는 것이다. 생월(生月)은 부모(父母)와 형제(兄弟)의 자리인데 관(官)이 있으면 형제(兄弟)가 후계자(後繼者)가 되는 상(象)으로 나는 차남(次男)이던 장남(長男)..
2) 상관(傷官) 상관(傷官)은 관(官)을 극(剋)한다. 갑일생(甲日生) 여자(女子)의 관(官)은 신금(辛金)인고 상관(傷官)은 정화(丁火)다. 정화(丁火)는 극(剋)신금(辛金)하여 관(官)을 극(剋)한다. 여명(女命)에 상관운(傷官運)와 상관(傷官)이 왕(旺)하면 남편이 다치거나 직장생활이 힘들 수도 있다. 단 사주중(四柱中)에 관(官)이 없으면 상관(傷官)이 관(官)을 치지 않는다. 관(官)은 시청(市廳), 군청(郡廳), 경찰관(警察官)과 같은데 상관(傷官)은 그 관(官)을 극(剋)한다는 것은 불복(不服)하는 것이며 남을 누르고 올라서려는 한다. 상관운(傷官運)이면 관(官)의 재앙(災殃)으로 공포(恐怖) 불안(不安)하다. 육친(六親)으로서 남명(男命)의 관(官)은 자식(子息)인데 상관(傷官)은 관(官..
3. 식신(食神) 상관(傷官) 1) 식신(食神) 식신(食神)은 옷과 밥이다. 식신(食神)은 재(財)를 생(生)하여 생명(生命)을 양육(養育)하는 것이다. 식신(食神)은 일명(一名) 수성(壽星:목숨)이라 한다. 이유(理由)는 칠살(七殺)이 나를 극(剋)하여 수명(壽命)을 줄이려 할 때 식신(食神)이 칠살(七殺)을 제(制)하며 보호해 수명(壽命)을 보(補)하여 준다. 갑일생(甲日生)의 칠살(七殺)은 경금(庚金)이고 식신(食神)은 병화(丙火)인데 칠살(七殺) 경금(庚金)의 칠살(七殺) 병화(丙火)로 제(制)하여 위기(危機)를 구명(救命)하여 주므로 수성(壽星)이라 한다. 식신(食神)이 월령(月令)에 자리 잡고 있을 때 시간(時間)에 살(殺)이면 시간(時間)의 살(殺)이 범(犯)하지 못하여 좋다. 육친(六親)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