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혼 나이 ? 새끼손가락은 자식을 보기도 한다. 새끼손가락이 뻗은 곳에서 감정선 사이에 감정선과 평행해서 가로로 뻗은 선이 있다. 이것이 결혼선이다. 감정선에서 새끼손가락 사이를 3개의 눈금을 나눈다. 감정선 가까이 부터 20~34세 35~49세 50대 이후 나누어 결혼선과 비교한다. 결혼선은 1~3 정도 있다. 그 중 뚜렷한 선을 3개의 눈금과 비교하는데 양손을 같이 보고 판단한다. 감정선 가까이에 결혼선이 있으면 초혼이 빠르다. 감정선 가까이의 선보다 새끼손가락 근처의 선이 길거나 굵으면 만혼이나 재혼도 가능하다. 결혼선은 있지만 결혼을 하지 않은 이도 많다.
2) 비겁(比劫) 양일간(陽日干)이 음(陰)을 만나는 동류(同類)는 겁재(劫財)하고 음일간(陰日干)이 양(陽)을 만나는 동류(同類)는 패재(敗財)라고 하는데 양자(兩者)를 모두 비겁(比劫)이라 한다. 겁재(劫財)는 재물(財物)을 강제로 빼앗김, 강압(强壓)에 의한 피탈(被奪)처재(妻財)를 탈재(奪財)하고 재물(財物)의 탐욕적(貪慾的) 사기(詐欺) 실패(失敗), 손재(損財)를 패재(敗財)라 한다. 비겁(比劫)은 비견(比肩)과 동류(同類)인 면은 같으나 음양(陰陽) 상대(相對)를 달리하기에 비견(比肩)이 표(表:겉)라면 비겁(比劫)은 이(裏:속), 비견(比肩)이 명(明)이라면 비겁(比劫)은 암(暗)에 해당(該當)하기 때문에 동류(同類)로서 형제자매(兄弟姉妹)가 틀림없다. 비견(比肩) 비겁(比劫)이 혼잡(混雜..
2. 비견(比肩) 비겁(比劫) 1) 비견(比肩) 비견(比肩)은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뜻이다. 집에서는 형제(兄弟)고 사회(社会)에서는 친구, 동료(同僚)이다. 비견(比肩)은 나와 동조자(同調者)가 되는 것이니 나는 그 힘을 믿고 타인(他人)과 협동심(協同心)이 없이 독주(獨走)하려는 기질(器質)이 많다. 타인(他人)의 의사(意思)를 받아들이지 않는 고집(固執)이 있어 사교(事敎)가 능(能)하지 못하다. 경제면으로 비겁(比劫)은 형제(兄弟)로서 재물(財物)을 같이 분배(分配)하는 성질(性質)이 되어 재물(財物)이 분배(分配), 분탈(分奪)되는 것이지만 외부(外部)로부터 적(敵)이 되는 관살(官殺)이 강(强)하여 나를 극(剋)하여 들어 올 때에는 비견(比肩)은 나를 보조(步調)하여 적(敵)을 막는 행위를 하..
2) 편인(偏印) 편인(偏印) 치우치는 편중(偏重)되는 학문(學問), 교육(敎育), 수양(修養)이 해당(該當) 된다. 인수(印綬) 무관(無官) 사주(四柱)는 종교가(宗敎家)가 많다. 재(財)가 극인(剋印)하면 학생(學生)시절(時節)에 공부(工夫) 못하고 부모(父母)와 선생(先生)에게 꾸지람 많이 받는다. 갑을일생(甲乙日生)의 인수(印綬)는 임계해자(壬癸亥子) 수(水)인데 재(財) 무기(戊己)진술축미(辰戌丑未) 토(土)가 있으면 재토(財土)는 극수(剋水) 인수(印綬)하여 괴인(壞印)하는 까닭이다. 인수(印綬)는 어학(語學)에 해당(該當)하는데 정인(正印)은 국어(國語) 편인(偏印)은 외국어(外國語) 월건(月建)에 편인(偏印)을 이거나 지지(地支)에 편인국(偏印局)이면 외국어(外國語)에 능통(能通)하여 통역..
육친(六親)활용(活用) 인수(印綬) 1) 정인(正印) 인수(印綬)는 정인(正印)과 편인(偏印)의 총칭(總稱)이다. 인수(印綬)의 뜻은 인장(印章:도장), 표점(標點:표적)을 뜻하는데 다른 말론 시발점(始發點)을 의미(意味)한다. 나의 시발점(始發點)은 모친(母親)이다. 고로 인수(印綬)는 나의 어머니다. 생모(生母)는 정인(正印)으로 내 몸을 생(生)하여 활동(活動)하게 후원(後援)해 준다. 따라서 년월(年月)에 인수(印綬)가 있으면 선조(先祖) 부모(父母)의 음덕(蔭德)이 많다. 년월(年月)은 기관장(機關長) 또는 직속(直屬)상관(上官)이 되어 그들의 사랑을 많이 받게 된다. 어머니는 육체적(肉體的) 안정(安定)과 정신적(精神的) 교양(交讓)을 준다. 고로 정인(正印)은 교육(敎育), 수양(修養), 학..
오행(五行)왕상휴수사(旺相休囚死) 일주(日柱)의 강약(强弱)을 측정(測定)하는 법(法)인데 생일(生日) 천간(天干) 대 생월지(生月支)와 비교(比較)해 보는 것이다. 생월지(生月支)와 일간(日干)가 같은 자(字), 비견겁(比肩劫)을 왕(旺)이라 한다. 생월지(生月支)와 일간(日干)을 생(生)하는 자(字)는 인수월(印綬月)을 상(相)이라 한다. 일간(日干)이 생월지(生月支)를 생(生)하는 자(字)는 식상관(食傷官)으로 휴(休:쉬다)라 한다. 일간(日干)이 생월지(生月支)를 극(剋)하는 자(字)를 재(財)로 수(囚:가두다)라 한다. 일간(日干)이 생월지(生月支)의 극(剋)을 받는 자(字)를 관귀(官鬼)로 사(死)라고 한다. 이 중에 왕상(旺相)을 신왕(身旺) 또는 신강(身强) 일주(日柱)고강(高强)이라 하고..
육친(六親) 남명(男命) 여명(女命) 정인(正印) 어머니, 이모(姨母), 장인(丈人), 처남(妻男)의 처(妻), 외손녀(外孫女). 어머니, 이모(姨母). 손녀(孫女), 증조부(曾祖父), 사위의 여동생. 편인(偏印) 편모(偏母), 이모(姨母), 조모(祖母), 외숙(外叔), 숙모(叔母). 편모(偏母), 이모(姨母), 할아버지, 손자(孫子), 사위. 비겁(比劫) 형제(兄弟), 자매(姉妹), 며느리, 처남(妻男)의 딸 자매(姉妹), 형제(兄弟), 시부(媤父), 시고모(媤姑母), 시숙(媤叔). 비견(比肩) 형제(兄弟), 자매(姉妹), 처남(妻男)의 아들. 자매(姉妹), 형제(兄弟), 시숙(媤叔), 시고모(媤姑母), 시백부(媤伯父). 상관(傷官) 할머니, 손녀(孫女), 외할아버지, 외숙모(外叔母). 아들, 딸, 할..
5. 식신(食神) 상관(傷官) 여자(女子)에게 식상관(食傷官)은 자식(子息)이다. 상관(傷官)과 식신(食神)은 내가 생(生)하는 것이다. 내가 생(生)하는 것은 아들과 딸을 말한다. 식상관(食傷官)은 내가 생(生)하는 것으로 자식(子息)이다. 갑일생(甲日生) 나의 식상관(食傷官)은 화(火)다. 갑목(甲木)의 상관(傷官)은 정오(丁午)이고 아들이다. 갑목(甲木)의 식신(食神)은 병사(丙巳)로 딸이다. 나의 남편(男便)인 정관(正官)은 신유(辛酉)이다. 남편(男便)의 자식(子息)은 관(官)이다. 금(金)의 처(妻)는 목(木)이고 자식(子息)은 화(火)로 병정(丙丁)사오(巳午)이다. 나 ― 생(生) ↘ ⇕ 화(火) ↗ 남편(男便) ― 관(官) 남자(男子) 갑목(甲木)의 식신(食神)은 장모(丈母)다. 갑목(甲木..
4. 정관(正官)편관(偏官) 관(官)은 남자(男子)에겐 자식(子息)이고 여자(女子)에겐 남편(男便)이다. 남자(男子) 갑일생(甲日生)의 아내가 낳은 식상관(食傷官)이 내 자식(子息)이다. 갑일생(甲日生)의 처(妻)는 무기(戊己)진술축미(辰戌丑未)이고 처(妻)가 낳은 자식(子息)은 경신신유(庚辛申酉)이다. 나 갑일생(甲日生)의 관(官)은 금(金)으로 경신신유(庚辛申酉)이다. 처(妻)가 낳은 양금(陽金) 경(庚)신(申)은 편관(偏官)으로 아들이고 음금(陰金) 신(辛)유(酉)는 정관(正官)으로 딸을 말한다. 갑일생(甲日生)의 손자(孫子)는 식신(食神)이다. 손자(孫子)는 아들의 아들로 편관(偏官)의 편관(偏官)이다. 나 갑일생(甲日生)의 아들은 경신(庚申) 편관(偏官)이고 아들의 아들은 편관(偏官) 경신(庚申..
3. 정재(正財) 편재(偏財) 편재(偏財)는 부친(父親)이다. 부친(父親)은 모친(母親)의 남편인데 갑일생(甲日生)의 모(母)는 정인(正印)으로 계자수(癸子水)이다. 정인(正印) 계자수(癸子水)의 남편(男便)인 정관(正官) 무진술(戊辰戌)이다. 갑일생(甲日生) 나에게 무진술(戊辰戌)은 편재(偏財)로 부친(父親)이다. 아버지의 형제자매(兄弟姉妹)는 정편재(正偏財)로 고모(姑母) 숙부(叔父)로 본다. 부친(父親)의 비견겁(比肩劫)은 무진술(戊辰戌) 기축미(己丑未)로 갑일생(甲日生)에게는 정편재(正偏財)이고 부친(父親)의 형제자매(兄弟姉妹)로 백부(伯父) 숙부(叔父) 삼촌(三寸) 고모(姑母)이다. 편재(偏財) 부친(父親)의 어머니는 나에게는 할머니 상관(傷官)이다. 토(土)를 생(生)하는 것은 화(火)로 무진..
2. 형제자매(兄弟姉妹) 비견(比肩) 비겁(比劫)은 형제자매(兄弟姉妹)다. 나와 같은 자(者), 즉 비아자(比我者)를 말한다. 갑일생(甲日生)이라면 갑(甲)은 양목(陽木)이고 이와 같은 갑인목(甲寅木)은 형제(兄弟)가 되고 을묘목(乙卯木)은 같은 자(者)이나 음목(陰木)으로 자매(姉妹)가 된다. 정재(正財) 편재(偏財)는 형제수(兄弟數)를 나타낸다. 형제(兄弟)의 수(數)는 형제(兄弟)의 처(妻) 즉 비견(比肩) 비겁(比劫)의 재(財)를 말한다. 갑일생(甲日生)의 형제(兄弟)는 갑을(甲乙)인묘(寅卯)목(木)이다. 갑을목(甲乙木)의 처재(妻財)는 무기(戊己)진술축미(辰戌丑未) 토(土)가 되는데 갑일(甲日) 대 정재(正財) 편재(偏財)가 형제수(兄弟數)가 된다. 갑일(甲日) ― 무기(戊己) 정관(正官) 편관..
육친(六親)이 가리키는 뜻 1. 인수(印綬) 인수(印綬)는 생아자(生我者), 나를 생(生)하는 자(者)를 뜻한다. 나를 생(生)하는 자(者)는 부모(父母)다. 어머니를 가르킨다. 갑일생(甲日生)의 인수(印綬)는 수(水)로 임계해자(壬癸亥子)이다. 정인(正印)은 계(癸)와 자(子), 편인(偏印)은 임(壬)과 해(亥)다. 정인(正印)은 친모(親母), 모친(母親). 편인(偏印)은 계모(繼母), 서모(庶母), 양모(養母), 유모(乳母). 갑(甲) ← 생(生) ← 계(癸), 자(子) ↖ ∦ 생(生) ← 임(壬), 해(亥) 인수(印綬)의 비견(比肩), 비겁(比劫)은 형제자매(兄弟姉妹)이다. 어머니의 형제자매(兄弟姉妹)는 외삼촌(外三寸), 이모(姨母)이다. 어머니의 어머니는 나에게 편관(偏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