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6. 사주(四柱)재약(財弱) 견겁왕(肩劫旺)에 재년(財年)봉지(逢之)하게 되면 적은 재(財)에 쟁탈(爭奪)붙어 화불단행(禍不單行) 싸움 많다. 재(財)가 약(弱)한 비겁(比劫)이 많은 사주에 재년(財年)을 만나면 서로 갖겠다고 싸움이 많다. 사업(事業)이 망하고 부인과 이혼하는 등 많은 일이 있다.> 427. 만약(萬若) 탈재(奪財)아니면 부부간(夫婦間) 이탈(離脫)이니 동서남북(東西南北) 처(妻)를 찾아 문전(門前) 배회(徘徊)하게 된다. 재(財)를 잃지 않으면 부부간 이혼(離婚)하거나 이별한다.> 428. 사주(四柱)일점(一點) 미약재(微弱財)에 재년(財年)이나 견겁년(肩劫年)은 처첩(妻妾)애인(愛人) 찾아가서 죽인다고 큰소리라. 작은 재(財)가 있는 사주는 재년(財年)이나 비견겁년(比肩劫年) 모..
396. 재다신약(財多身弱) 놓은 자(者)는 견겁(肩劫)인운(印運) 부호(富豪)되고 재성(財星)약격(弱格) 신왕자(身旺者)는 식신재운(食神財運)에 부자(富者)된다. 재다신약(財多身弱)은 비견겁(比肩劫)운(運), 인수운(印綬運)에 부자된다. 재(財)가 약(弱)한 신강사주(身强四柱)는 식신재운(食神財運)에 부자 된다.> 397. 재다신약(財多身弱) 갱봉(更逢)재운(財運) 파가(破家)망신(亡身)하게 되고 비견겁왕(比肩劫旺) 재소자(財少者)는 재운(財運)오면 대화(大禍)큰 재앙>온다. 재다신약(財多身弱)가 운에서 또 재운이 오면 집안이 망(亡)한다. 비견겁(比肩劫)이 많고 재(財)가 작은데 재운(財運)이오면 서로 재(財)를 갖겠다고 싸움으로 큰 상처를 입는다.> 398. 겁성(劫星)만난 편재성(偏財星)은 견겁운..
육친(六親) 편인(偏印) 편중(偏重)된 능력(能力), 계모(継母), 도식(倒食), 효신(梟神). 편인(偏印)은 계모(継母)다. 콩쥐 팥쥐에서 나오는 팥쥐 엄마가 콩쥐에게는 계모(継母)다. 편인(偏印)대운(大運)에 들어서면 팥쥐 엄마가 와서 사업(事業)하자고 잘해주면 접근(接近)한다. 콩쥐는 계모(継母) 말에 속아 일한다. 도저희 감당 못하게 일 시킨다. 못하면 달달 볶인다. 계모(継母)에게 눈칫밥 먹고 찬밥 먹다 보니 도식(倒食) 작용(作用)으로 불안(不安)하고 인덕(人德)이 없으며 소화기능(消化機能)과 건강(健康)에 문제가 많이 생긴다. 도식(倒食)은 의식주(衣食住)의 풍성(豊盛)함과 건강(健康)함을 무력화(無力化)시키고 재성(財星)을 낳는 길(吉)작용(作用)을 막아 버린다. 갑일주(甲日柱)의..
2) 편인(偏印) 편인(偏印) 치우치는 편중(偏重)되는 학문(學問), 교육(敎育), 수양(修養)이 해당(該當) 된다. 인수(印綬) 무관(無官) 사주(四柱)는 종교가(宗敎家)가 많다. 재(財)가 극인(剋印)하면 학생(學生)시절(時節)에 공부(工夫) 못하고 부모(父母)와 선생(先生)에게 꾸지람 많이 받는다. 갑을일생(甲乙日生)의 인수(印綬)는 임계해자(壬癸亥子) 수(水)인데 재(財) 무기(戊己)진술축미(辰戌丑未) 토(土)가 있으면 재토(財土)는 극수(剋水) 인수(印綬)하여 괴인(壞印)하는 까닭이다. 인수(印綬)는 어학(語學)에 해당(該當)하는데 정인(正印)은 국어(國語) 편인(偏印)은 외국어(外國語) 월건(月建)에 편인(偏印)을 이거나 지지(地支)에 편인국(偏印局)이면 외국어(外國語)에 능통(能通)하여 통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