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친(六親)식신(食神)

반응형
반응형

육친(六親)

 

식신(食神)

 

실업자(失業者), 자식관심(子息關心), 학업(學業).

 

갑일주(甲日柱)에게 병사(丙巳)는 식신(食神)이다.

대운(大運)이 식신(食神)이면 남녀(男女) 모두 자식(子息)에 대한 관심(關心)이 많아 진다.

여자(女子)는 식상(食傷)이 자식(子息)이라 당연(當然)하지만 남자(男子)에겐 식신(食神)은 재()를 생()하는 것이다.

식생재(食生財)로 식신(食神)이 이쁘고 같이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남자(男子)가 식신운(食神運)일 때 자식이랑 같이 있고 챙겨주다가 직장(職場)에 소홀해지니 회사(會社)에서는 애 보라고 직장 그만 나오라고 한다.

 

먹는 것에 대한 관심도 많아 진다. <의식주(衣食住)>

식신운(食神運)이면 취업(就業)보다 공부(工夫)하는 것이 좋다.

식신운(食神運)에는 취업(就業)이 안된다.

그래서 돈 벌기 위한 공부하라고 한다.

 

식신대운(食神大運) 중간 쯤에 아이들이 싫어진다. 미워진다.

원하는 일이나 취업(就業)이 쉽지 않으니 괜시리 짜쯩이나니 못난 사람같은 것이 싫어져 우울증(憂鬱症)이 생길 수 있다.

식신(食神)은 희망(希望)이고 밝음이다.

급밝음은 급우울로 우울증(憂鬱症)이 발현(發現)하기도 한다.

 

우울증(憂鬱症)의 치료(治療)는 밖에 나가 노는 것이다.

해를 보고 운동(運動)하고 친구(親舊)를 만나고 수다 떠는 것이다.

정신과(精神科) ()보다 수다가 좋다.

반응형

'사주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육친(六親)정재(正財)  (0) 2024.05.26
육친(六親)상관(傷官)  (0) 2024.05.25
육친(六親) 겁재(劫財)  (0) 2024.05.21
육친(六親)비견(比肩)  (0) 2024.05.20
해수(亥水)  (0) 2024.05.18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